철강도시 광양, 저탄소·첨단 전환의 국가적 전환점…도·시·중앙정부 공동 대응 총력
[광양/시사호남] 조용호 기자=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20일 정부가 광양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공식 지정한 데 대해 환영의 입장을 밝히며, “광양 철강산업을 다시 대한민국 산업 중흥의 선두에 세우겠다”고 강조했다.
광양시 지정은 지난 5월 여수시에 이어 전남 동부권 전반의 산업위기 대응 기반을 더욱 강화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철강산업 내 구조적 침체를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결정으로 평가된다.
김 지사는 “대한민국 철강산업의 심장인 광양이 이번 지정으로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했다”며 “국가 기간산업인 철강 산업이 저탄소·첨단 산업으로 전환하는 중대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철강 중소기업 금융지원, 지역상권 활성화, 고용안정, 인력양성, 노후 산단 재생뿐 아니라 철강 AI·로봇 자동화, 첨단신소재 기술개발을 총력 지원해 산업 경쟁력을 회복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광양시의 지정을 신청하며 총 3천511억 원 규모의 5개 분야 19개 사업을 정부에 건의했다. 이 가운데 285억 원이 이미 2026년 정부예산안에 반영됐으며, 나머지 사업도 예산 반영을 위해 중앙부처와 국회와의 협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광양시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기간은 2년이며, 광양시는 이 기간 보통교부세 약 381억 원을 추가로 지원받게 된다. 도는 이를 통해 지역 재정 여건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전남도는 철강기업의 탄소 감축, 전력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제도 개선을 위해 국회에서 논의 중인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특별법(K-스틸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고 있다.
특별법이 제정되면 ▲수소환원제철 상용화 ▲녹색철강기술 개발 ▲저탄소 철강 전환 투자 ▲특구 지정 및 규제특례 ▲전력·수소 인프라 국가계획 반영 등 실효적 지원 기반이 갖춰질 전망이다.
김 지사는 “광양이 대한민국 대표 철강도시로 재도약하도록 수소환원제철 도입, 미래 철강산업 구조 전환, 청정수소 산업벨트 구축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며 “전남도가 앞장서 국가산업의 새 미래를 열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