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순천시·광양시, RE100 기반 미래첨단 국가산단 조성 총력…경제효과·입주수요 ‘확실’

[전남/시사호남] 조용호 기자=전라남도는 25일 서울 여의도 CCMM빌딩 컨벤션홀에서 ‘RE100 미래첨단 국가산단 유치 포럼 및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순천·광양을 중심으로 한 미래첨단 국가산단 조성 필요성과 추진 전략을 공유했다.

‘RE100 미래첨단 국가산단 유치 포럼 및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과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RE100 미래첨단 국가산단 유치 포럼 및 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과 퍼포먼스를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이번 행사는 김문수·권향엽 국회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전남도와 순천시·광양시가 공동 주관했으며, 김영록 전남도지사를 비롯해 신정훈·주철현·조계원 국회의원, 정인화 광양시장, 전문가, 연구기관, 상공계, 기업, 지역 주민 등 300여 명이 참석했다.

김영록 도지사는 개회사에서 “전남은 재생에너지 기반과 산업 부산물을 활용한 첨단 소재 생태계를 두루 갖춘 국내 최고 수준의 산업환경을 보유하고 있다”며 “순천·광양을 중심으로 RE100 기반 미래첨단 국가산단을 조성해 대한민국 신산업 성장축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전남 동부권은 해상풍력·육상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탄탄하며, 여수·고흥에서 추진 중인 13GW 규모 해상풍력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 RE100 전력 공급 기반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여기에 광양제철소(POSCO)를 중심으로 고로슬래그·분진·화학 부산물 등을 첨단소재로 재활용하는 순환형 생태계도 이미 구축돼 미래 국가산단 입지 여건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평가된다.

포스코퓨처엠, LG화학, 전남테크노파크,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CL) 등 앵커기업 및 연구기관의 밀집 역시 국토연구원 타당성 용역에서 높은 경쟁력으로 확인됐다. 

용역 검토 결과 117개 기업이 입주 의향을 밝혔으며, 약 120만 평 규모의 산업단지 수요가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조성 시 생산유발 3조 5천억 원, 부가가치 1조 2천억 원, 고용창출 1만 4천 명 등 광범위한 경제적 파급효과도 전망된다.

포럼에서는 안형순 동신대 교수가 기조연설을 맡았으며, 장은교 국토연구원 연구위원이 기본구상과 조성 전략을 발표했다. 

이어 전문가 6명이 참여한 종합토론에서 재생에너지 기반 산업구조 전환, 규제개선, 산·학·연 연계 모델 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뤄졌다.

참석자들은 결의문을 통해 ▲RE100 기반 신산업모델 창출 ▲국가 성장축 확보 ▲산·학·연·관 협력 강화 ▲미래산업 혁신 중심지 도약 등을 다짐하며 국가산단 유치 의지를 높였다.

김영록 지사는 “오늘 포럼과 결의대회는 전남 동부권 성장동력 확보와 전남 전역의 미래산업 중심지 도약을 위한 중요한 계기”라며 “RE100 기반 미래첨단 국가산단 유치를 위해 중앙정부와 긴밀히 협력하며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전남도는 향후 관계부처 협의와 정치권 지원을 통해 국가산단 지정 절차를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호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