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의료시설 394개소 대상…신속 대피 체계 구축
[무안/시사호남] 전남도는 기후위기에 따른 산불 대형화에 대비하고 인명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사회복지시설, 요양원, 장애인 시설, 요양병원 등 재난 취약계층이 거주하는 시설을 대상으로 산불 대피 매뉴얼을 수립하고 선제 대응에 나선다고 밝혔다.
최근 경북 지역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요양원 입소자 등이 신속히 대피하지 못해 희생되는 안타까운 사례가 발생함에 따라, 전남도는 긴급 상황 시 사회복지 및 의료시설 거주자의 신속한 대피를 지원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했다.
대피 매뉴얼 적용 대상은 도내 사회복지시설 605개소 중 산림과 500m 이내에 위치한 394개소다. 시설 유형별로는 ▲노인요양시설 277개소 ▲장애인 거주시설 58개소 ▲노숙인 시설 7개소 ▲정신재활시설 6개소 ▲종합병원 7개소 ▲일반병원 15개소 ▲요양병원 24개소가 포함된다.
대피 시점은 산림청의 ‘산불확산예측도’를 기반으로 현장 지휘권자가 판단해 사전에 지정된 임시 대피시설로 주민을 즉시 이동시키도록 했다.
대피는 시설 종사자와 함께 이뤄지며, 인력이 부족할 경우 시군 공무원, 생활지원사, 의용소방대 등의 지원인력을 투입해 차량을 이용한 대피를 실시한다.
병원은 자체 재난 대비 매뉴얼에 따라 간호사 및 종사자와 함께 앰뷸런스를 활용해 대피한다.
산불 발생으로 대피시설에 입소한 주민들을 위해 필요 물품을 배분하고, 응급상황 발생 시 의료진을 투입하거나 응급환자 이송시스템을 운영한다.
또한, 전남도는 시군 공무원을 24시간 현장 대응반으로 편성해 도-시군 협조체계를 구축하고, '마음안심버스'와 '건강버스'를 활용한 트라우마 치료 및 이동식 의료 서비스도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김영록 지사는 “산불은 한순간의 부주의로 대형 피해를 초래할 수 있는 재난”이라며 “철저한 대비와 신속한 대응으로 도민, 특히 재난 취약계층의 안전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