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당 전국 조직 총동원, 국민의 힘은 분열과 무기력
– 이낙연의 개헌·연정 제안은 묻혔지만 의미는 남아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의 선거는 단 한 표 차이의 당락이라도 누구나 승복하고 결과에 만족해야 한다.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는 49.42%, 김문수 후보는 41.15%의 득표율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민주당으로서는 천문학적인 선거비용 반환이라는 절체절명의 위기에서 현역의원뿐만 아니라 전국의 시도의원들까지 밤낮없는 선거전에 나서, 흠결이 많은 후보임에도 불구하고 대선 승리를 이루어냈다.
당에서는 이번 대선의 득표력을 기반으로 내년 지방선거에 반영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고, 이에 따라 전국의 시도의원들이 밤낮으로 전력을 다해 선거에 임한 것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계파 간의 분열과 윤석열의 탄핵 찬반 논쟁으로 갈등이 이어졌고, 경선 후보들조차 김문수 후보를 적극 지원하지 않은 채 해외에 나가 비난만 하거나, 유튜브에 ‘먹방’이나 올리는 식의 오합지졸 상태로 선거에 임하다 결국, 두 번째 탄핵 이후 치러진 선거에서 뼈아픈 패배를 겪고 말았다.
이번 선거는 단군 이래 최악의 부정부패 혐의자이자 12개 혐의와 5건의 재판에 직면한 이재명 후보와, 민주화 운동과 노동운동, 청렴함으로 평가받는 김문수 후보의 대결이었다. 오히려 역대 가장 쉬운 선거였다고 평가될 수도 있었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갑작스런 비상계엄 선언과 탄핵으로 인한 조기대선, 이어진 경선 과정의 법적 다툼 속에서 김문수 후보는 겨우 한 달도 안 되는 짧은 시간에 선거를 치러야 했다.
한동훈, 홍준표, 심지어 한덕수까지 비협조적인 태도로 일관했고, 당 지도부 역시 제대로 된 선거 준비 없이 현역 의원과 시도의원들까지 각자도생으로 나서는 모습만 보였다. 결국 모두가 “쉬운 선거”라 여겼지만 결과는 참담한 패배였다.
특히, 이준석과의 단일화를 이루었다면, 단순 수치상 49.42% 대 49.49%, 불과 2만5천 표 차이로 김문수 후보가 승리할 수도 있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하지만 과거 이준석의 정치적 분열 행보와 그와 손잡고 낭패를 본 보수 정치인들의 경험은 당내에 깊은 트라우마로 남아 있었고, 결국 단일화는 성사되지 못했다.
국민들은 이재명의 전과와 사법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이 탄핵당하고도 정신 차리지 못한 채 분열과 무기력 속에 조직력을 발휘하지 못한 책임을 물은 것이다. 이번 대선의 결과는 그들에게 '정신 차리라'는 국민이 주는 회초리였다.
그러나 이번 선거 과정에서도 적지만 수확은 있었다.
나경원, 안철수의 노력은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높이 평가되어야 한다. 특히 안철수는 이번 선거를 통해 그간의 비아냥을 딛고 국민의힘의 차세대 리더로 발돋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이낙연 전 총리의 고뇌에 찬 결단은 큰 감동을 주었다.
그는 시대 흐름에 맞는 '7공화국 개헌'과, 3년 후 개헌 시 총선과 대선을 함께 치러 국가적 손실을 줄이자는 비전을 제시했다. 이는 국가의 미래를 고민한 국민통합의 메시지였지만, 유권자들은 국민의 힘에 대한 회초리를 더 우선시했고, 이 제안은 실현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은 이낙연의 제안을 기억해야 할 것이다.
반대로, 국민의힘의 대표 경선에서 고배를 마시자 하와이로 떠나고 자신이 판 우물에 침을 뱉은 홍준표, 윤석열 정부의 최대 수혜자였음에도 철저히 비인간적인 정치 행보를 보인 한동훈의 자기 알리기식의 무늬만 선거운동이 패배의 원인으로 당원들로부터 반드시 평가받아야 할 것이다.
물론 이번 선거에서 당선자는 이재명이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공직선거법 위반을 포함한 다섯 건의 재판이 남아 있다. 사법부를 장악하려는 시도나 헌법을 무시하는 행보를 이어간다면 국민 저항에 부딪칠 것은 자명하다.
민주당 역시 이번 승리에 도취하여 정치보복이나 , 입법·행정부장악에 이어 사법부까지 장악하려는 우를 범하지 말고, 국민통합과 경제 살리기에 힘써야 할 것이다. 선거에 표를 준 국민뿐 아니라 그렇지 않은 국민에게도 책임을 져야 한다.
이번 대선은 국민의 절반이 환호하고 절반이 좌절한 선거였다. 그만큼 분열된 민심과 선거의 폐단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앞으로 두세 달이 고비다. 우리는 헌법의 가치를 지키며 이 혼란의 시기를 슬기롭게 헤쳐나가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