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어촌 맞춤형 강좌부터 디지털 문해교육까지
- 장애인·고령층·청년 아우르는 평생학습망 구축
[무안/시사호남] 조용호 기자= 전라남도가 도민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원하는 학습을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 중인 평생교육 지원 정책이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도는 모든 도민의 학습권 보장과 사회 변화 대응을 위한 역량 강화를 목표로 ▲찾아가는 전남형 평생학습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 등 신규 시책을 운영하는 한편, 기존 사업도 내실화하며 체계적인 평생학습망을 구축하고 있다.
올해 처음 시행된 ‘찾아가는 전남형 평생학습 지원사업’은 학습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이다. 도민 10명 내외가 팀을 꾸려 희망 강좌를 신청하면 강사가 읍면 현장으로 직접 찾아가 교육을 진행한다. 현재 16개 시군에서 1천870여 명이 참여했으며, 농산어촌 주민들의 호응이 특히 크다.
또한 국가가 추진하던 ‘평생교육이용권(바우처)’ 사업이 올해부터 지자체로 이관되면서 전남도가 1인당 35만 원을 지원한다. 덕분에 도민들은 학습비 부담을 덜고 자기계발에 집중할 수 있게 됐다.
고령층의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10월부터 시작된 ‘디지털 미디어 문해교육’도 주목받고 있다. 수요자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과 전문 강사 양성을 통해 어르신들이 스마트기기 활용 능력과 정보 판별 역량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다.
아울러 도는 도내 8개소 장애인평생교육시설에 총 23억 2천600만 원을 지원해 인건비, 운영비, 프로그램 개발비 등을 보조하고 있다. 현재 600여 명의 장애인 학습자가 안전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 중이다.
이 밖에도 ‘평생교육 네트워크 운영사업’을 통해 시·도, 시군, 대학, 평생교육기관이 협력 기반을 강화하고, ‘찾아가는 생활문해교실’ 운영 및 문해교원 연수를 통해 기초 문해 역량과 교사 전문성을 높이고 있다.
오는 17일 화순에서는 ‘평생교육 어울림의 날’을 개최해 도민 모두가 참여하고 즐기는 화합의 장을 마련하며, 2026년에는 여수에서 ‘전라남도 평생학습박람회’를 열어 평생학습 축제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강종철 전남도 인재육성교육국장은 “평생교육은 도민이 행복한 삶을 누리기 위한 기본권”이라며 “앞으로도 실질적 도움이 되는 평생교육 정책을 적극 발굴·추진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