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시도 단일 후보지에서 도 전역으로 확대 지정…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유치·RE100 산업단지 조성 가속

[전남/시사호남] 조용호 기자 =전라남도는 5일 열린 제36차 에너지위원회에서 전남 전역이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으로 최종 지정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전남도는 22개 모든 시·군이 분산에너지 특구 혜택을 적용받게 됐다.

김영록 도지사 . [시사호남 DB]
김영록 도지사 . [시사호남 DB]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이번 성과에 대해 “온 도민과 함께 환영한다. 이번 지정은 전남을 기회의 땅에서 황금의 땅으로 바꾸는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분산특구는 지역에서 생산한 전기를 지역에서 직접 사용하는 지산지소형 에너지 시스템으로, 민간 발전회사가 전력을 한전을 거치지 않고 기업·주민에게 직접 공급할 수 있어 전기요금 절감과 신기술 실증이 가능하다.

이번 결정은 당초 솔라시도 기업도시(145㎢) 지정에서 전남 전체 12,363㎢로 대폭 확대된 것으로 의미가 크다. 전남은 제주·부산·경기와 함께 총 4개 광역 분산특구 중 한 곳으로 선정됐다.

이번 특구 지정은 대규모 전력 수요를 필요로 하는 글로벌 AI 기업 유치에 결정적 기반이 됐다.

전남도는 이미 오픈AI–SK그룹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구축 발표 삼성SDS 컨소시엄의 국가 AI 컴퓨팅센터 후보지 공모 신청(2조 5천억 원 규모)을 이끌어낸 상황이다.

특히 여수 석유화학, 광양 철강산단, 영암 대불산단 등 주요 산업단지가 마이크로그리드 기반 RE100 산단으로 전환되며 지역 제조업 경쟁력 강화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전남도는 분산특구를 통해 초대형 ESS(에너지저장장치) 실증 및 산업화, AI 기반 에너지 관리 시스템, 변전소·전력공급시설 우선 설치 등 에너지 신기술 실험과 상용화를 전국 최초로 확대 적용할 수 있게 됐다.

김영록 지사는 “전남의 재생에너지 설비는 현재 6.6GW 수준이지만 2030년 29GW, 2035년 58.6GW로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도내 전역에 RE100 스마트 산단을 조성해 AI·에너지 수도 전남으로 도약하고, 연간 1조 원 규모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에 나서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시사호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