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출 구조조정 통해 4대 중점 분야 재정 재배분
- 인구감소 대응·첨단산업 육성·청년주거지원 강화

[전남/시사호남] 조용호 기자 =전라남도는 2026년도 예산안을 총 12조 7천23억 원 규모로 확정해 11일 전남도의회에 제출했다. 이는 올해 본예산 대비 1,587억 원(1.3%) 증가한 규모다.

윤진호 도 기획조정실장이 예산 설명을 하고 있다. /조용호 기자
윤진호 도 기획조정실장이 예산 설명을 하고 있다. /조용호 기자

회계별로는 일반회계 10조 4,587억 원(5.0%↑), 특별회계 1조 2,355억 원(8.5%↑), 기금 1조 81억 원(8.5%↓)으로 편성됐다.

전남도는 지방세수 감소와 중앙 재정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모든 재정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했으며, 성과 미흡·중복·집행 부진 사업에 대해 강도 높은 세출 구조조정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절감한 재원은 전남도의 중장기 전략기조 ‘OK! 지금은 전남시대’ 실현을 목표로 다음 4대 중점 분야에 집중 투자된다. AI 인력 양성과 스타트업 지원 10억, 중소기업 제조혁신(첨단로봇·AI 활용) 8억, 대불·여수 국가산단 AI 전환 실증 인프라 7억, 청년 에너지 플러스사업 13억, 해상풍력 기자재 공급망 구축 2억,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14억, 또한 우주항공 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기업 기술자립 지원 10억, 국방 우주 반도체 전문인력 양성 10억, 초소형 위성 개발사업 3억이 포함됐다.

또 민생 회복 지원과 소상공인·농수축산 지원 확대로 중소기업·소상공인 이자 지원 155억, 전통시장 시설 현대화 54억, 지역사랑상품권 발행 50억, 사회적기업 일자리 지원 17억 등이다,

농축수산 분야는 농산물 안정생산 공급지원 57억, 전복 산업 위기 극복 지원 16억, 축사시설 현대화 33억, 전남형 균형발전 300 프로젝트 133억이 반영됐다.

인구감소·저출산 대응과 청년 주거·기본생활 집중 지원으로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416억, 청년 공공임대주택 건립 160억, 전남형 만원주택 건립 100억,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44억 등이다.

출산·육아 지원에는 전남 출생기본수당 142억, 난임 시술 지원 21억, 공공산후조리원 운영 9억이다.

청년 역량 지원에는 청년문화복지카드 114억, 청년 희망기금 조성 10억, 청년사관학교 운영 27억이 배정됐다.

행복공동체 기반과 복지·교육·안전으로 통합돌봄 서비스 확충 94억, 경로당 운영비 확대 32억,어린이집 운영비 확대 20억, 글로컬대학 및 RISE 사업 1,340억, 고등학교 무상교육 지원 15억, 지역인재 육성 6억 등이다.

K-문화·관광 프로젝트는 2026 전남 섬 방문의 해 8억, K-문학 페스티벌 5억, 여수세계섬박람회 준비 및 연계사업 총 152억이 반영됐다.

안전 인프라 사업은 지방도 정비 1,100억, 지방하천 정비 991억, 전남형 탄소중립 포인트제 8억 등이다.

윤진호 도 기획조정실장은 “재정 여건이 쉽지 않은 가운데서도 꼭 필요한 분야에 집중 투자했다”며 “예산이 도민의 생활 속으로 체감될 수 있도록 집행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남도의 2026년 예산안은 제395회 전남도의회 상임위원회 및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6일 본회의에서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시사호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