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장은 허수아비 사무국장이 다 알아서선출
[순천/시사호남] 김근철기자= 대한민국은 주인은 국민이고 민주당의 주인은 민주당 당원들이라는건 세살먹은 어린아이도 다 아는 사실입니다.
이 말인즉은 대한민국 주인이 윤석열이 아니듯이 민주당 주인이 이재명대표가 아닌 당원들이 주인입니다.
오늘(21일) 더불어민주당 순천,광양,구례,곡성갑 지역위원회는 연향3지구 호남호국기념관에서 지역 대의원대회를 개최했습니다. 이 대회에서 중앙대의원과 상임대의원을 선출하는 과정에서 권리당원들의 의사는 전혀묻지도 따지지도 않은채 위원장은 허수아비 노릇을하고 지구당 사무국장을 맡고 있는 이모씨 마음대로 중앙대의원, 상임대의원, 지역대의원 명단을 작성했습니다.
또 지난 선거과정에서 민주당 권리당원이지만 무소속후보자를 대놓고 도왔던 인물들까지 대거 대의원에 선출하면서 당원들은 허수아비위원장은 이모국장이 작성한 명부를 토대로 북한 인민대회식으로 "이의있습니까? 없으면 원안대로 통과"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돼 그동안 당을위해 헌신해온 일부 당원들이 반발하면서 지방선거에서 또 해당행위를 해도 된다는 확신을 주었다며 이재명 당대표와 민주당에게 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또 김문수위원장은 지난 낙안에서의 발언에서보다 더한 구체적인 방식까지 거론하며 노시장이 잘못하면 오세훈시장을 쫒아낸것처럼 집행부를 강하게 견제해 쫒아내겠다는 발언까지 서슴치 않았습니다. 여기다 한술더떠 갑지구 대의원대회에서 을지구위원장인 권향엽위원장과는 단 한마디 상의없이 순천시의회 의장 출마장 정견발표를 하도록 해 을지구 시의원들의 원성을 듣고있습니다.
지난 순천대의대 여수유치 발언처럼 을지구 권향엽후보자와는 아무런 상의없이 임의대로 의장후보 정견발표회를 가짐으로써 권향엽의원과 협치보다는 분쟁의 씨앗을 낳아 지난 21대 여수 갑,을 주철현, 김회재 두 앙숙관계로 깊어지는 모양세입니다. 더 과관인것은 이걸 또 시킨다고 정견발표를한 의장입후보자들도 웃깁니다. 이의를 제기하며 동료의원들이 전원 참석하지 않았음으로 워크삽으로 미루자고 한 이도 단 한명도없이 진행하다가 3분이 초과되었다며 연설을 또 짜르는 촌극의 연속입니다.
대회가 끝나고 오랫동안 민주당 권리당원이자 대의원을 역임한 이모씨는 "민주당이 사무국장 지하고 싶은대로 지제멋대로하여 민주당이 이대로 망하는 꼴을 더 이상 두고볼수 없다며 중앙당에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하겠다" 말했습니다.
일반 시민이 당원으로 가입한 뒤 6개월 동안 당비를 내면 누구나 권리당원 자격을 받습니다. 권리당원이 되면 전당대회 투표권 등 여러 당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대의원이 되는 요건은 조금 더 까다롭습니다. '열성적인 지역활동'이 요건입니다. 당대표·최고위원·지방자지단체장·지역위원장 등이 대의원입니다.
대부분 직업 정치인이지만 종종 직업정치를 하지 않는 권리당원 중 대의원이 나오기도 합니다. 당원들의 추천과 지역위원장의 선택에 따라섬니다. 그런데 지금 민주당 현 사무국장의 경우 지금까지 순천시 지구당에 이바지한바가 손톱의 때만큼도 없습니다. 21대 소병철의원이 그랬던 것처럼 어느날 갑자기 마패들고 나타난 이를 자기차에 태우고 짠하고 낙하산처럼 하늘에서 뚝 떨어젓을 뿐입니다.
대의원이 되면 민주당 당헌 14조에 따르면 당 최고대의기관인 전당대회에 참석할 수 있습니다. 수십년간 지켜온 권당원을 제치고 당헌 당규에의해 지역위원회에 이바지한적이없는 이가 갑자기 사무국장이란 완장을 차더니 최순실이 되려한다며 당원들의 원성이 하늘을 찌릅니다. 이처럼 탈도많고 말도많은 대의원제 폐지는 민주당 내에서도 여러 번 거론돼 왔습니다.
전당대회에서 대의원 1표가 수십여명이 넘는 권리당원 표와 동일한 가치로 평가되면서 돈봉투 살포 등의 부정선거를 근본적으로 막기에는 역부족이란 이유에서입니다. 과거 권리당원 40%, 대의원 45%, 여론조사 10%, 일반당원 5% 비율과 비교하면 대의원 반영 비율이 줄었으나, 권리당원 수가 이전보다 크게 증가해 권리당원 1표 비중이 대의원 1표에 비해 60분의 1 수준 밖에 되지 않았습니다.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해 지난해 민주당 혁신위원회는 시·구의원 3선 초과 제안, 대의원 제도 폐지 등이 담긴 14개 혁신안을 내논바있습니다. 혁신위원회는 현 대의원 제도가 권리당원과 대의원 표 등가성 문제가 있어 제도 폐지, 투표가중치 조정 등에 대한 의견을 중앙당에 건의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반면 대의원제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습니다. 민주당 텃밭인 호남과 비교해 영남이나 타 지역의 당원 수 차이가 커 균형을 맞추기 위해 대의원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뛰어난 제도와 규정이 있다고 한들 변질되고 부정하게 시행된다면 그 제도는 분명 손질을 거치고 개선을 하는 것이 기본입니다.
더욱이 민의를 상징하는 투표 제도라면 그 어느 것보다 투명성이 담보돼야 합니다. 대의원제를 개선한다면 이번이 더 없는 기회라고 봅니다. 국민과 당원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금까지 시사호남뉴스 김근철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