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자 20조 투입, 3.2GW 단일단지 세계 2위 규모 조성
- 해상풍력 30GW 보급 목표…도민 기본소득 1조·3만 일자리 창출 추진

[무안/시사호남] 전남도는 22일, 아시아·태평양 최대이자 단일단지 기준 세계 2위 규모로 추진되는 3.2GW 신안 해상풍력 발전단지가 산업통상자원부 신재생에너지 정책심의회를 거쳐 ‘집적화단지’로 공식 지정됐다고 밝혔다.

김영록 지사가 해상풍력집적화단지 지정 관련 기자브리핑를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김영록 지사가 해상풍력집적화단지 지정 관련 기자브리핑를 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이번 지정을 계기로 전남도는 여수·고흥 동부권(13GW)을 비롯해 영광, 진도 등 전남 전역에 해상풍력 30GW 보급을 목표로 삼고, 도민 에너지 기본소득 1조 원 달성, 해상풍력 기자재 연관 산업 육성, RE100 수요 기업 유치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집적화단지’는 지자체 주도로 민관협의회를 통해 주민 수용성과 환경성을 확보한 구역에 재생에너지 발전시설을 집단 설치·운영하는 제도로, 공동접속설비 구축을 통해 대규모 발전단지 조성에 가속도가 붙게 된다. 

이번 신안 해상풍력 사업에는 총 민자 20조 원이 투입되며, 10개 단지에 걸쳐 3.2GW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이는 원전 3기에 해당하는 막대한 설비 용량이다.

전남도는 해상풍력 대규모 보급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발전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송전선로 구축 문제 해결을 위해 송전 경과지 주민을 포함한 전력계통협의체를 구성, 송·변전설비 인프라 구축도 병행할 방침이다.

또한 연간 약 2,450억 원의 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를 확보하여, 주민 이익 공유와 도민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을 추진할 계획이다.

전남도는 하부구조물, 타워, 케이블 등 연관 산업 기업 유치를 위해 지역 공급망 우대 방안을 마련하고, 목포신항을 중심으로 한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클러스터를 조성하여 조선업과 함께 전남의 주력 산업으로 육성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지역 내 고소득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들의 지역 정착을 도모하겠다는 청사진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된 목포신항과 해남 화원산단에 터빈·블레이드·하부구조물 제조기업 100개를 유치하고, 2,500여 명의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총 3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며 “전남 전역에 해상풍력 30GW를 보급해 전남을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수도이자 아시아·태평양 해상풍력의 중심지로 도약시키겠다”고 밝혔다.

이번 집적화단지 지정은 글로벌 침체를 겪고 있던 풍력 업계에도 긍정적 신호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 특별법과 국가 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 통과 이후 한국 해상풍력 산업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전남 대불산단 등 조선 해양 기업들도 해상풍력 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다.

전남도는 정부 정책 기조에 발맞춰 해상풍력 보급 확대와 연관 산업 육성을 위한 후속 조치에 더욱 속도를 낼 방침이다.

저작권자 © 시사호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