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명의·수상한 예금·숨겨진 재산…공직자 윤리, 어디에?
- GV80 ‘1% 명의 꼼수’…김성 군수 “아들 부탁이라 몰랐다”
- 금융실명제 위반 소지…명백한 책임 회피
- 예금 2억 3천만 원 ‘슬쩍’ 증가…‘고지 거부’로 눈속임?
- 가족 재산 빼고 내 예금만 뚝딱? 계산 맞춰보니 이상한 증가
-“보험 권유받아 어쩔 수 없이 가입”…책임 있는 공직자의 자산 운용인가
- 지역 금융기관 예금 급증, 말 바꾸기 해명 논란
- 차남이 몰래 대출? ‘부친 명의’로 금융거래…실명제 위반 의혹
- 본인도 몰랐다면 심각한 범죄, 알고도 눈감았다면 더 큰 문제
- “나는 잘 모른다”…해외주식, 가상자산 모두 ‘아들 책임’으로
- 공직자가 가족 재산조차 몰라? 제도 악용 의심

[장흥/시사호남] 지난 8일 단독 보도한 김성 장흥군수의 꼼수 재산 신고에 대한 의혹 기사에 이어 이번에는 조용호 기자가 김 군수에게 질의 답변을 받은 내용 일부를 방송하고자합니다.

공직자의 재산신고는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책임입니다. 하지만 한 지자체장이 보여준 변명과 해명은, 그 책임을 모욕하는 수준입니다. 조용호 기자가 김성 장흥군수의 재산공개 의혹과 관련된 충격적인 내막을 집중 보도합니다.

김성 전남 고흥군수가 최근 공개한 2025년 재산신고 내용을 두고, 수많은 의문과 논란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시사호남은 김 군수에게 6개 분야, 20여 개에 달하는 구체적인 질의서를 발송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무책임과 회피로 점철되어 있었습니다.

첫 번째로  GV80 차량 의혹입니다. 

김 군수가 2025년식 GV80 차량이 재산신고에 신규 등록된 가운데, ‘1% 공동명의’라는 기이한 형태가 눈길을 끕니다. 

김 군수는 해당 차량이 ‘한전에 근무하는 아들 소유’라며, ‘1%는 대출 혜택을 받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공직자의 재산신고에 ‘대출을 위한 명의 빌려주기’라니, 이는 금융실명제 위반의 소지가 있는 중대한 사안입니다.

두 번째로  예금 급증과 고의적 축소 논란입니다.

재산 신고에서 김 군수의 예금은 ‘감소한 것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2023년도 신고분과 2024년도 신고분을 분석한 결과 2억 3천여만 원이 증가했습니다. 

이에 대해 2024년 예금총액은 6억8천4백이었는데 2025년 예금총액은 4억7천2백만원을 신고해서 2억1천2백만원이 감소된 것으로 신고했다고 해명했습니다. 

하지만 본 기자가 질의한 2024년 증액과 동떨어진 답변이며, 특히 2025년도에는 자녀들의 재산신고를 거부하면서 장남의 재산이 ‘마이너스 2억 2천만 원’으로 신고된 점과 맞물려, 자녀 명의 재산을 고의로 빼돌리고 본인 계좌로 집중한 정황이 포착되었습니다. 

또 김 군수는 지역 농협과 산림조합 등 금융기관 예금이 급증한 데 대해 ‘지역 보험설계사의 부탁으로 어쩔 수 없었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처럼 공직자의 자산 운용이 타인의 부탁에 좌우되는 현실, 이 해명이 정상적인 자산운용이라 믿을 국민은 없을 것입니다.

특히 서울 은평구 힐스테이트 아파트는 김 군수가 상속받은 재산이라 주장했지만, 신고 방식은 의문투성이입니다. 

보증금 1억 6천만 원은 채무로 신고했고, 소득과 세금 내역은 누락됐습니다. 게다가 차량 대출 명의는 본인으로 되어 있는데, ‘막내아들이 몰래 받은 것’이라며 책임을 회피했습니다. 

이는 실명거래법 및 사문서 위조 가능성까지 내포된 중대한 범죄 혐의입니다.

또한 본인 및 가족 명의로 보유한 주식, 그 중에는 남북경협 테마주와 해외 투자종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김 군수는 ‘나는 모른다, 차남이 했다’는 말만 반복했습니다. 

공직자의 재산신고에서 ‘나는 잘 모른다’는 면죄부가 될 수는 없습니다.”

국민의 혈세로 급여를 받는 공직자는, 그 권한만큼의 의무를 집니다. 

김성 군수의 이번 재산공개와 해명은 공직자로서의 자질을 정면으로 의심케 하는 사례입니다. 

본 방송은 이와 관련한 국세청, 감사원,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철저한 조사와 진상 규명을 촉구합니다. 지금까지 시사호남 조용호 기자였습니다.

저작권자 © 시사호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