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시사호남] 김영록 전라남도지사는 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동서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국립 의과대학 통합 방안에 지지를 표명했다. 또한 광주 군공항 이전 문제에 대해 광주시의 적극적인 자세 변화를 촉구했다.
김 지사는 먼저 올해 벼멸구 피해를 언급하며 “폭염과 이상고온 등 기상 재해로 인해 피해가 심각해졌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벼멸구 피해를 재해로 인정한 것은 피해 농민들에게 큰 위로가 된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 더불어 해남, 영암, 강진, 장흥 지역이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되도록 노력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의대 설립과 관련해 김 지사는 “정부가 2026학년도까지 의대 정원 확대 논의를 진행 중이지만 이후는 불확실하다”며, 이번이 마지막 기회라고 판단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동서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통합 의대 설립 방안이 실현 가능하고 명분도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양 대학 통합이 원론적으로 물꼬를 트고 있다"며 통합을 적극 지지하고 지원할 뜻을 밝혔다.
군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해서는 최근 광주시민단체협의회의 성명서를 언급하며, 군 공항 이전 문제의 본질을 이해해준 점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김 지사는 "군 공항 이전이 소음 등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환영할 시설이 아님을 인정한 것은 무안군민들에게도 위안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광주시가 무안군민들에게 '양심불량' 발언에 대해 사과하고, 전향적 자세로 진지한 대화를 시작할 것을 촉구했다.
지방 소멸 위기와 전라남특별자치도 설치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의 권한 이양을 주장하며, “지방정부가 현장 상황에 즉각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내 해상풍력 시장이 중국산 제품에 의해 좌우될 수 있다는 우려 속에서 전라남특별자치도가 설치되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전남도가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