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주/시사호남] 윤병태 나주시장이 연이어 언론과 시민사회의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수의계약 밀어주기, 위법 의혹 인사, 특정 언론과의 부적절한 관계, 그리고 보복성 인사까지, 민선 8기 나주시정은 이제 총체적 난맥상이라는 말 외에는 달리 표현할 길이 없다는 지적이다.
특히 나주시산림조합과의 수의계약 특혜 의혹은 단순 행정 절차 미비를 넘어 형법상 '직권남용' 및 ‘업무상 배임’ 혐의까지 거론되고 있다.
부가세 면세 사업인 ‘빛가람 혁신도시 바람길 숲 조성사업’에 만에 하나 부가세·이윤·일반관리비를 계상했다는 의혹까지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산림조합과 수의계약을 체결할 경우, 부가세를 공제한 금액으로 계약을 체결하며, 이중으로 ‘이윤’을 계상했는지에 대해서는 차후에 확인 후 답변을 주겠다”고 해명했다.
더 나아가 나주시는 총 122억 원 규모의 산림사업을 위탁 절차 없이 특정 조합에 몰아줬다면, 이는 단순한 부주의가 아닌 계획적 행정 편의주의이자 책임 회피성이란 지적이다.
윤 시장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취임과 동시에 공개모집 절차 없이 전남도 4급 서기관 출신을 채용한 비서실장을 지난 1월 인사발령 당시 ‘정무 실장’으로 직위 변경한 뒤, 여론 반발에 밀려, 단 하루 만에 다시 번복하는 웃지 못할 ‘인사 쇼’를 벌였다.
공개모집이 원칙인 고위직 채용 절차를 무시하고 편법 인사를 시도한 점은 명백한 인사권 남용이자 위법 소지가 크다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더욱이 윤 시장은 극우 매체 ‘스카이데일리’에 시민 혈세 600여만 원에 달하는 광고비를 집행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 매체는 5·18 민주화운동을 왜곡·폄훼하는 보도를 일삼아온 곳으로, 지방정부 수장으로서의 역사인식과 판단력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낳고 있다.
나주시정의 비정상적인 인사행정 역시 여전히 진행 중이다. 윤 시장은 취임 직후 전임 시장 시절의 국장급을 천연염색문화재단과 한국농어촌공사 등으로의 잦은 파견 인사를 단행, 이는 전형적인 인사권의 정치적 남용이라는 여론이다.
기획재정부 관료 출신이라는 경력을 앞세워 ‘행정 엘리트’를 자처했던 윤 시장이지만, 현재 나주시 행정은 졸속·아마추어·독선의 삼중고에 빠졌다.
시민들은 다음 지방선거에서는 "더 맡길 수는 없다"며 당 차원의 공천 배제 등 실질적인 제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특히 시민들은 “윤병태 시장은 자신이 주도한 정책과 인사에 대해 해명과 책임을 회피할 것이 아니라, 이제라도 스스로의 과오를 인정하고 시민 앞에 진정으로 사과해야 한다”며 “나주시민은 더 이상 과거의 구태정치와 오만한 행정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