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향엽 의원·박성현 전 사장 등 전방위 노력 결실…중앙정부 기조 변화 이끌며 개발 추진 탄력
[광양/시사호남] 여수세계박람회장의 사후활용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됐다. 여수광양항만공사(사장직무대행 황학범)는 박람회장 사후활용의 최대 걸림돌로 작용했던 정부선투자금 3,658억 원에 대해 ‘일시상환’ 방식에서 ‘10년 분할상환’ 방식으로 전환하는 데 해양수산부 등 관계 부처와 최종 합의했다고 25일 밝혔다.
정부선투자금은 지난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개최 당시 정부가 선투자한 금액 중 미상환 잔액으로, 공사는 2023년 5월 박람회장을 인수하면서 해당 채무를 함께 부담하게 됐다.
그러나 중앙정부는 줄곧 "2024년 말까지 전액 상환"이라는 방침을 고수해 왔고, 이로 인해 여수광양항만공사와 지역사회 전반에서는 재정 부담에 따른 개발 지연과 사업 위축에 대한 우려가 지속 제기돼 왔다.
이에 따라 공사는 지난 1년여 간 50여 차례에 걸쳐 해수부·기재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를 진행했고, 권향엽 국회의원을 비롯한 지역 정치권과도 긴밀히 공조하며 중앙정부의 입장 변화를 이끌어냈다.
권향엽 국회의원은 “여수박람회장은 국제행사의 국가 자산으로서, 그 사후활용에 대한 책임 또한 국가가 져야 한다”며 “이번 분할상환 결정은 지역사회와 공사, 정치권이 함께 이뤄낸 소중한 성과로, 여수의 미래 해양산업이 다시 숨을 쉴 수 있게 된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성과의 물꼬를 튼 인물로는 박성현 전 공사 사장이 꼽힌다. 박 전 사장은 재임 기간 내내 정부선투자금 상환 문제 해결에 역점을 두고, 해양수산부 및 기획재정부와의 실무 협의에 직접 나서는 한편, 내부적으로는 박람회장 사후활용과 광양항 미래 전략을 연계하는 구조적 청사진을 제시해왔다.
특히 박 전 사장은 정부 측에 “재정부담만 떠넘긴다면 사후활용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하게 설득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앙정부 또한 초기에는 엄격한 상환 기조를 유지했으나, ▲박람회장의 공공적 성격 인정, ▲사후활용 활성화를 위한 민간투자 기반 필요성, ▲항만·관광 복합개발이라는 지역 전략 수용 등의 논리를 받아들이면서 태도를 점차 완화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번 조치로 공사는 연간 부담을 분산시키는 동시에 여수박람회장 개발과 항만 인프라 확충 등 미래 먹거리 사업에 보다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게 됐다.
황학범 사장직무대행은 “이번 결과는 공사와 노동조합, 지역 정치권이 한마음으로 대응해 얻은 성과”라며 “이제는 박람회장의 해양레저관광 중심지 전환을 위해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재정 마련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역사회에서도 “막혀 있던 숨통이 트였다”며 이번 조치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여수박람회장 사후활용을 둘러싼 논의가 다시 본격화되며, 향후 민간 투자 유치와 콘텐츠 개발을 통한 실질적 변화가 이뤄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