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지사 “2027년 반드시 개교” 주장 vs 교육부 “2030년 로드맵 유지”
- 전남 국립의대 신설 두고 김영록 지사·교육부 ‘2027년 vs 2030년’ 시각차

[무안/시사호남] 조용호 기자= 전남 국립의과대학 신설을 두고 전라남도와 교육부의 입장 차이가 뚜렷하게 드러나면서,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도민들에게 과도한 기대만 부풀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쟁점 비교표, 전남도 vs 교육부 의대 신설 입장, [조용호 기자]
쟁점 비교표, 전남도 vs 교육부 의대 신설 입장, [조용호 기자]

김 지사는 1일 최교진 교육부 장관과의 면담에서 “전남 국립의대는 단순한 지역 숙원이 아니라 도민 생명권을 지키기 위한 절박한 과제”라며 “정부가 약속한 국정과제인 만큼 반드시 2027년 3월 개교로 이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목포대와 순천대 통합이라는 어려운 결정을 내린 만큼, 2026년 2월까지 조건부 정원 배정(최소 100명 이상)과 ‘유연한 통합 특례’를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교육부는 지난 9월 당·정 워크숍에서 이미 ‘2030년 개교 로드맵’을 제시한 바 있다. 

의대 신설과 관련해 ▲정원 배분 ▲부속병원 구축 ▲재정 확보 등 선결 과제가 산적해 있다는 이유에서다. 교육부는 충분한 준비 없이는 졸속 개교가 될 수밖에 없다며 현실적 일정을 고수하고 있다.

이처럼 정부 입장이 명확히 제시된 상황에서 김 지사가 매번 “2027년 개교”를 언급하는 것이 사실상 도민들에게 희망 고문을 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실제로 의료 인프라가 열악한 전남에서 의대 신설은 시급한 현안이지만, 교육부의 로드맵과 국회 입법 절차가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2027년 개교는 '요원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김 지사는 이날 면담에서 “국립 전남 통합대학교가 국내 최초 글로컬대학 통합 모델이자 ‘서울대 10개 만들기’ 정책의 거점대학으로 지정돼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으나, 정부가 이를 단기간에 수용할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결국 전남 국립의대 신설은 속도보다 현실적 실행 가능성이 관건이다. 도민들이 절실히 바라는 의대 개교가 ‘희망 고문’으로 끝나지 않도록, 김 지사의 주장보다 실질적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김영록(우) 전라남도지사가  최교진 교육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전라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대 신속 신설 등 전남도 핵심사업 해결을 위한 걸의 및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김영록(우) 전라남도지사가 최교진 교육부 장관과 면담을 갖고 전라남도 통합대학교 국립의대 신속 신설 등 전남도 핵심사업 해결을 위한 걸의 및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사진=전남도]

 

저작권자 © 시사호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