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의 날, 시민대표 홀대 논란 방치…섬박람회 동력 훼손 우려 속 “책임 회피·소통 부재” 비판 폭발
[여수/시사호남] 조용호 기자= 정기명 여수시장의 리더십 부재와 총무과장의 안일한 사고방식이 여수시를 갈등의 늪으로 밀어 넣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다.
지난 17일 ‘여수시민의 날’에서 불거진 범시민추진위원회 홀대 논란을 두고 시가 사전 요청 미이행–현장 운영 실패–사후 봉합 부재로 일관했다는 지적이 잇따르면서, 2026 세계섬박람회 추진 동력까지 흔들리고 있다.
정 시장은 사태 발생 직후 즉각적 사실 확인·공개 사과·임시 개선책을 내놓지 않았고, 주무부서인 총무과는 “서운함일 뿐”이라는 식의 사건 축소·책임 희석에 머물렀다.
이에 시민사회와 추진위 내부에서는 “정 시장이 갈등을 관리하지 못하는 리더십 공백이 협치 파탄을 넘어 섬박람회 성공개최의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격한 여론이 분출하고 있다.
실제 10월 17일 ‘여수시민의 날’ 현장에서는 그늘막·좌석조차 없는 가운데 범시민추진위 다수가 식사조차 제대로 못 하고 이석한 정황이 증언으로 확인됐다.
사전 부스 설치 요청을 받았다는 주장과 미이행 사이의 괴리는 끝내 해소되지 않았고, 5일 뒤(22일) 섬박람회 추진계획 최종 보고회에서 범시민추진위가 집단 불참하는 사태로 번졌다.
그럼에도 시장실과 총무과는 수습 신호를 내지 못했다는 이 점이 ‘리더십 제로’ 논란의 핵심이다.
핵심은 텐트 한 동이 아니라 ‘대응 한 수’였다. 사전 요청의 경위와 이행 여부를 분명히 밝히고, 현장 실수를 인정한 뒤 재발 방지 매뉴얼·임시 보완책을 즉시 제시했다면 파국은 막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정 시장은 “시간이 해결해 줄 것” 같은 소극적 대응을 택했고, 총무과는 원칙 뒤에 숨어 책임을 회피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시민을 파트너가 아닌 ‘행사 참가자’로 취급했다는 인상만 남겼고, 이는 섬박람회 성공 명분과 시민 신뢰를 동시에 갉아먹고 있다는 비평이 쏟아지고 있다.
한편 여수시가 경험했던 2012엑스포의 성공에 그 핵심은 시민을 ‘행사객’이 아닌 ‘공동 주최자’로 대우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한 시민은 “작은 무시가 큰 불신을 낳는다. 정기명 시장이 갈등을 봉합하지 못하는 순간, 2026섬박람회의 성공 명분과 동력은 흔들릴 수밖에 없다. 지금 필요한 건 핑퐁식 해명이 아니라 시장 책임 아래의 신속한 사실 공개와 결단이며, 리더십은 위기 때 증명된다는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고 충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