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영록의 침묵, 전남을 넘어 국가를 향한 결단인가
- 3선 도전보다 중앙 정치 복귀가 전남 발전의 길…호남의 큰 정치인으로 남아야 할 때
[칼럼/시사호남]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지난 8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불출마를 공식 선언하며 이재명 대표와의 동행을 선언했다.
하지만 그의 다음 행보는 여전히 물음표로 남아 있다. 도지사 3선 도전이냐, 정권교체를 위한 입각이냐. 김 지사는 지금 정치적 갈림길에 서 있다.
공식 기자회견문에서는 “정권교체를 위해 헌신하겠다”며 이재명 대표에 대한 강한 신뢰와 지지를 드러냈지만, 향후 자신의 정치적 진로에 대해서는 함구했다.
이는 정치권 안팎의 다양한 해석을 낳고 있다. 특히 김 지사의 전남지사 3선 도전에 대한 시선은 엇갈린다.
현재 전남지역 정가와 여권 내부에서는 “3선 도전은 무리수”라는 시각이 서서히 힘을 얻고 있다.
김 지사가 2018년 지방선거에서 첫 당선된 이후 두 차례의 도정 경험을 통해 안정적인 행정을 펼쳐온 것은 분명하지만, 지역 민심은 "새로운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크다.
특히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세대교체와 새로운 비전을 요구하는 흐름이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김 지사의 3선 도전이 과연 정치적 명분과 동력을 가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반면, 김 지사가 이재명 대표의 대선 가도에 동행하며 선거운동의 핵심 축으로 활동한 뒤, 향후 입각하거나 정권교체 이후 중앙정부의 주요 역할을 맡을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김 지사는 문재인 정부에서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을 역임한 바 있고, 정치와 행정 양쪽에서 탄탄한 이력을 쌓아온 인물이다. 당내에서는 그를 차기 내각 구성 시 안정성과 실무 능력을 겸비한 중량감 있는 카드로 평가하는 목소리도 크다.
또 하나 주목할 지점은 김 지사의 이번 기자회견에서 보여준 ‘정치적 메시지의 명료함’이다.
단순한 불출마 선언을 넘어, “민생경제 회복과 AI 중심국가 도약” 등 국정 전반에 대한 방향성과 철학을 명확히 제시했다. 이는 단순한 지방행정가가 아니라 국가적 리더십을 지향하는 정치인의 면모로 읽힌다.
그렇기에 김 지사의 정치적 선택은 단순히 개인의 진로 문제가 아니라, 민주당의 향후 전략과 정권교체의 구도에도 적잖은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김 지사가 정권교체의 대열에 깊숙이 합류해 이재명 후보의 전국 득표 확장을 위한 역할을 자처할 경우, 호남 민심의 결집과 수도권 확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결국 김영록 도지사의 향후 행보는 ‘현실 정치’와 ‘정권교체 대의’ 사이에서 치열한 고심의 결과물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가 3선 도전에 나설지, 아니면 ‘정권교체의 밀알’로 중앙 무대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될지는 아직 베일에 싸여 있다. 다만 분명한 것은, 김 지사가 지금까지 그래왔듯 ‘호남의 중심’으로서 또 한 번 중대한 결정을 앞두고 있다는 사실이다.
- 김영록 도지사, 대선 불출마 선언 “이재명 대표와 함께 정권교체에 헌신”
- 김영록 전남지사, 이재명 대표와 회동…전남 현안·헌정질서 회복 협력
- 김영록 전남지사, 대선 출마 공식화… “호남 정치 복원과 국가 대개혁”
- “내란 피의자가 헌재 재판관?” 김영록 지사, 이완규 지명에 8가지 이유로 정면 비판
- 칼럼|어쩌다 나라가 이 꼴이 되었는가.
- 칼럼|위선자들이여, 설난영 여사를 비난하지 마라
- 칼럼|대선 앞두고 퍼주는 포퓰리즘을 경계하자
- [김영록] “진짜 대한민국의 시작”…전남도, 이재명 대통령 취임 환영
- 김영록 도지사 3선 시사…“성과 마무리” 명분 내세웠지만, 여론은 ‘무리수’ 우려
- [팩트체크] 김영록 지사③, 3선 도전 앞둔 ‘선거용 정책 드라이브’ 논란
